본문 바로가기
직업 경제 재테크

농협 농산물 경매가격 확인

by 동편 서무 2025. 7. 23.
반응형

농협 농산물 경매 가격 정보 완전 정복 가이드

왜 ‘경매 가격 정보’가 중요한가

농산물은 하루에도 가격이 크게 출렁입니다. 같은 배추라도 계절·산지·등급·규격에 따라 가격이 2배, 3배씩 차이 납니다. 소규모 농가든 도소매업자든 “언제, 어디서, 얼마에” 팔리고 있는지를 실시간에 가깝게 파악해야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 농협 농산물 경매가격 정보는 바로 이 의사결정의 기준점이 됩니다.

농협 농산물 경매가격

농협 농산물 경매가격 글에서 다루는 핵심

  • 공판장(공영도매시장) 농협 농산물 경매가격조회 방법
  • 농협 공판장 인터넷 통합거래시스템 (newgp.nonghyup.com) 사용 절차 및 팁
  • KAMIS(농산물유통정보), aT, 로컬공판장 홈페이지 등 보조 채널 비교
  • 품목·등급·규격·Lot의 의미와 해석법
  • 엑셀 다운로드, 자동화(스크래핑·API 활용) 실무 팁
  • 자주 묻는 질문(FAQ)과 문제 해결 체크리스트

농협 공판장 경매 시스템 한눈에 보기

농협 공판장의 역할

  • 농협 공판장은 생산자(출하자)와 중도매인 사이의 거래를 중개하는 도매시장 역할을 합니다.
  • 대부분의 거래가 경매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최종 낙찰가(경락가)가 공개됩니다.
  • 이 데이터가 ‘농산물 시세’의 기준이 되며, 산지·소비지 가격 형성에 큰 영향을 줍니다.

경매 가격 데이터의 구조

기본 필드 이해하기
  • 품목/품종: 배추-통배추, 토마토-방울토마토 등 세분화
  • 규격/등급: 특, 상, 중, 하, 도매시장 규격(중량/길이/당도)
  • 수량/단위: 박스(10kg), 망(20kg), 접(1접=100뿌리 등)
  • 단가: 원/kg, 원/박스처럼 단위가 다를 수 있으니 주의
  • 총금액(경락금액): 단가 × 수량
  • 거래일(경매일), 공판장명, 출하자 코드, 중도매인 코드 등


어디서 어떻게 확인하나? - 주요 채널 비교

1. 농협 공판장 인터넷 통합거래시스템 (newgp.nonghyup.com)

  • 특징: 농협계 공판장 경락가격을 통합 조회
  • 장점: 공판장별/품목별/기간별 상세 조회, 엑셀 다운로드 지원
  • 단점: 로그인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음, 모바일 UI가 불편하다는 의견도 있음
접속 및 이용 절차

  1. 접속: 브라우저에서 newgp.nonghyup.com 입력
  2. 로그인/비로그인:
    •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면 검색 조건 저장 등 편의 기능 이용 가능
    • 비회원 조회 메뉴가 열려 있는 경우 ‘경락가격 조회’ 메뉴로 바로 이동
  3. 메뉴 경로:
    • [거래정보] → [경락가격 조회]
    • 필터: 공판장, 품목/품종, 기간(일/주/월/연도), 규격/등급 선택
  4. 결과 확인:
    • 화면에서 즉시 조회
    • 우측 상단 또는 하단의 다운로드 버튼으로 엑셀/CSV 저장 가능
  5. 모바일팁:
    • 화면이 작아 필드가 잘리는 경우가 있음 → 가로 모드 전환
    • 크롬 브라우저 ‘데스크톱 사이트 보기’ 옵션 활용

 

 

2. KAMIS(농산물유통정보, kamis.or.kr)

  • 특징: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aT가 운영, 소매·도매·산지 가격을 평균값 형태로 제공
  • 장점: 그래프/시계열 분석 도구, 품목별 리포트 제공
  • 단점: ‘실제 낙찰가’가 아닌 평균가·조사가격 중심이므로 실제 경매낙찰 단가와 차이 있을 수 있음

3. 각 지역 공영도매시장/공판장 개별 홈페이지

  • 예시: 부산엄궁, 대구북부, 광주각화, 진주문산 등
  • 장점: 당일 실시간 공지, 공판장 공지사항, 휴장정보 등 상세
  • 단점: 사이트마다 UI·데이터 포맷이 제각각, 통합 조회 어려움

4. 민간 포털/앱(시세조회 서비스)

  • 특징: 스크래핑·API로 모은 데이터를 보기 쉽게 가공
  • 장점: 모바일 최적화, 알림 서비스, 그래프 제공
  • 단점: 무료 이용 한계, 데이터 정확성(출처) 확인 필요

실전: 통합거래시스템에서 경락가 조회하기

검색 조건 세팅 노하우

기간 선택 전략
  • 당일 시세: 오전 경매에는 오후 반영, 오후 경매는 다음날 반영되는 경우도 있으니 시간 체크
  • 주간/월간 트렌드: 월 단위 평균 단가 그래프를 엑셀로 만들 때는 출하량(물량)도 같이 봐야 함
  • 전년 동기 대비: 계절성 작물(배추, 무, 과일 등)은 전년도 동일 시점 비교가 의미 있음
품목·품종 상세 분류
  • ‘배추’와 ‘절임배추’는 전혀 다른 시장
  • ‘토마토’도 일반토마토/방울토마토/대추방울토마토로 분리
  • ‘감자’도 수미감자/대지감자 등 품종 구분 가능
규격·등급 필터
  • 동일 품목이라도 규격·등급이 다르면 가격 차이가 큼
  • 상품성 판단 기준: 크기, 색, 당도, 외형 결점 유무 등
  • 공판장별로 등급 체계가 약간씩 다를 수 있으니 설명서를 확인

조회 결과 다운로드 & 가공

  • 엑셀/CSV로 저장 후 피벗테이블로 요약
    • 행: 날짜, 열: 품목/등급, 값: 평균단가/총물량
    • 일자별 변동폭, 주간 평균, 이동평균(7일/30일) 등 계산
  • 그래프:
    • 가격 vs 물량(2축 그래프)로 수급관계 파악
    • 전년 대비 증감률, 최고/최저가 표시

자동화(개발자/사업자용): 파이썬·RPA로 일일 시세 받아보기

1) 파이썬 requests + BeautifulSoup (HTML 스크래핑)

  • 로그인 세션 유지 필요 가능 → requests.Session() 사용
  • 조회 파라미터(공판장 코드, 품목 코드, 날짜 등) 확인 후 GET/POST 요청
  • HTML 테이블 파싱 → pandas DataFrame 변환 → 저장/시각화
import requests
import pandas as pd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login_url = "https://newgp.nonghyup.com/login"
search_url = "https://newgp.nonghyup.com/trade/priceSearch"

with requests.Session() as s:
    ## 1. 로그인 (필요 시)
    payload = {"userId": "YOUR_ID", "userPw": "YOUR_PW"}
    s.post(login_url, data=payload)

    ## 2. 조회 파라미터 구성 (예시)
    params = {
        "market": "DAEGU",  ## 공판장 코드 예시
        "item": "배추",
        "fromDate": "2025-07-01",
        "toDate": "2025-07-24",
    }
    r = s.get(search_url, params=params)
    soup = BeautifulSoup(r.text, "html.parser")
    rows = []
    for tr in soup.select("table.result tbody tr"):
        cols = [c.get_text(strip=True) for c in tr.select("td")]
        rows.append(cols)
    df = pd.DataFrame(rows, columns=["일자","공판장","품목","품종","규격","등급","수량","단위","단가","총금액"])
    df.to_excel("경락가.xlsx", index=False)
주의사항
  • 이용약관 위반 여부 체크(스크래핑 허용 여부)
  • 트래픽 관리(시간 지연, 요청 빈도 조절)
  • 사이트 구조 변경에 대비한 예외 처리

2) RPA/헤드리스 브라우저

  • UI 변경이 잦은 경우 RPA 로직 유지보수 비용 발생
  • 크롬 드라이버 + Selenium 조합으로 로그인/조회/다운로드 자동화
  • 파일 저장 경로 지정 후 주기적 실행(Windows 작업 스케줄러, cron)

3) 공공데이터 포털/오픈API 활용

  • aT, KAMIS의 일부 데이터는 공식 API 제공
  • 단, ‘경매 낙찰가’ 원자료는 대부분 비공개이거나 제한적
  • 대안: 도매시장 유통정보시스템(유사, 제한적) → 필요 시 전화/이메일로 API 사용 문의

데이터 읽을 때 놓치기 쉬운 포인트

‘단가’ 단위 확인

  • kg 단가인지, 박스 단가인지 반드시 확인
  • 동일 품목이라도 지역별로 포장 단위가 다를 수 있음

상·중·하 등급의 의미는 다 시장이 정한다

  • A/B/C 등급 대신 “특/상/중” 등 용어 혼재
  • 모범거래규약, 공판장 공지사항에서 등급 기준 확인 필요

휴장/특별경매/비상 상황 체크

  • 명절 연휴(추석/설) 전후 급등락, 기상재해(태풍/폭염) 후 급등락
  • 공판장 휴장일에는 데이터가 비어 있으니 기간 계산 시 제외

자주 묻는 질문(FAQ)

Q1. 당일 경매 결과는 언제쯤 확인할 수 있나요?

A. 공판장마다 다르지만, 보통 경매 종료 후 1~3시간 내 업로드됩니다. 밤 늦거나 다음 날 오전 반영되는 곳도 있습니다.

Q2. 특정 품목만 알림 받고 싶은데요?

A. 스크래핑/자동화나 민간 앱의 알림 기능을 활용하세요. RSS가 없는 경우 크롤링 알림 봇을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

Q3. 도매시장 평균가와 실제 경락가는 왜 다르죠?

A. 경락가는 ‘실제 낙찰가’, 평균가는 조사 시점/거래처/물량이 섞인 평균치라서 차이가 납니다. 의사결정 시 둘 다 참고하되 목적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두셔야 합니다.

Q4. 공판장 코드·품목 코드 목록은 어디서 얻나요?

A. 통합거래시스템 내 도움말, 개발자도구(Network 탭)로 확인하거나,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자료를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Q5. 가격 변동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있나요?

A. 기상청 데이터(강수량·기온), 재배면적 통계(통계청·농식품부), 수입물량(관세청), 학교급식/대형마트 판촉 등 수요 이벤트를 함께 모델링하면 추세 예측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공판장 리스트(대표적 농협·공영도매시장)

  • 서울: 강서농산물도매시장(강서공판장), 가락동농산물도매시장
  • 경기: 수원, 안양, 성남, 고양 등 농협공판장
  • 영남: 대구북부, 부산엄궁, 진주문산, 김해 등
  • 호남: 광주각화, 남원, 순천 등
  • 충청: 대전오정, 청주오창 등
  • 강원: 춘천, 원주 등

(필요 시 지역별 상세 주소·전화번호를 별도 포스팅으로 분리해도 좋습니다.)


실무 팁: 블로거·셀러·농업인을 위한 응용 시나리오

1) 블로그/콘텐츠 제작자

  • “오늘의 배추 시세” 시리즈: 당일 경락가 + 전년 동기 비교 그래프
  • “폭염 후 토마토 가격 급등” 등 이슈성 기사형 포스팅
  • 검색어 분석: ‘농협 경매가’, ‘가락시장 시세’, ‘배추 도매가’ 등 키워드 믹싱

2) 도소매상·식당 운영자

  • 매입 원가 계산용 시세표 자동 업데이트(구글 시트+App Script)
  • 특정 임계가(예: 양파 10kg 1박스 8,000원 이하) 알림 설정 → 구매 의사결정 트리거

3) 농업인(출하자)

  • 출하 적정 시기 판단: 최근 2~3년 간 같은 주(week)의 평균 단가·물량 참조
  • 등급 향상을 위한 선별 포인트: 시장별 등급 기준서 비교
  • 계약재배 vs 경매출하 수익성 비교

문제 해결 체크리스트

  • 사이트 접속 안 됨: 공판장 서버 점검/휴장일? 브라우저 캐시 삭제
  • 엑셀 다운로드 오류: 팝업 차단 해제, IE 모드 대신 크롬 사용
  • 로그인 오류: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 요구, OTP 도입 여부 확인
  • 데이터 누락: 날짜/공판장/품목 필터 다시 확인, 공판장별로 해당 품목 거래 없을 수 있음

마무리: 경매 가격 정보는 ‘매일 보는 습관’이 경쟁력입니다

농협 공판장 경락가 데이터는 단순한 숫자 나열이 아닙니다. 그 숫자 안에는 수급의 현황, 소비자의 반응, 기후와 정책의 영향이 녹아 있습니다. 매일 확인하고, 주간·월간 추세를 기록해두면 앞으로의 가격 변동을 더 정확히 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KAMIS나 aT 자료와 교차 검증하면 시장 전체의 흐름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핵심은 꾸준함과 표준화입니다. 정해진 포맷(엑셀 템플릿)으로 매일 데이터를 적재하고, 자동화로 시간을 절약하며, 필요한 순간 인사이트를 뽑아내세요.
이 글이 농협 농산물 경매 가격 정보를 찾고 활용하는 데 실질적인 가이드가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